이 글은 '일상을 요리하다'라는 카테고리의 첫 글이다.

'일상'과 '요리'란 이야기를 어떻게 이 블로그에 담을까에 대한 고민이다.

 

 

폭주하는 이미지의 시대다.

10년 전 도토리를 모으며 배경음악을 구매하고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을 올리고 일기를 쓰던 싸이월드의 시대는 완전히 끝이났다.

각종 소식들로 가득한 화면에 일종의 영역표시인 '좋아요'를 무의식적으로 눌러대던 페이스북의 글들도 이제는 귀찮아졌다.

2016년 이미 많은 사람들이 가입을 했고.. 끝까지 '하지 않겠다' 결심한 나 조차도 ' 인스타그램'에 가입했다.

인스타그램에서 긴글은 '쿨 하 지' 못하다. 이미지와 헤시테그면 충분하다.

(아직 인스타그램의 정확안 어원이 무엇인지 헤시테그는 어떻게 나온 단어인지 알지 못한다) 

이미지를 위한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인 매체를 통해 우리는 '소통'한다고 생각한다.

하루에도 몇장식 올라오는 사진들, 끊이없이 내려지는 스크롤... 과연 그 끝은 있을까 싶다.

그 끝없음 만큼 우리들은 그 누군가와 진정 소통하는 것일까?

있다면, 그 소통은 과연 어떤 것일까?

 

인스타그램에서 슬프거나  비참하거나 더러운 이미지를 본적이 거의 없다.

멋지게 찍은 다큐사진 등에서 그 비슷한 사진을 본적이 있지만 그것은 강렬한 색감을 가진 슬프장면을 찍은 멋진 이미지였다.

인스타그램 속 세상은 비현실적 행복의 세상이며 증명되지 않은 삶의 현장이기도 하다.

우리의 삶은 고되고 슬프기도 하며 뼈가 시리게 추운 다층적 감정이 가득한 세상인데 인스타그램의 세상은 지나치게 단순하다.

 

그래서인지 나는 그 속의 소통이 그리 맘 편하지만은 않다.

 

진정 행복한 이미지가 아닌 '이미지적 행복'에 둘러쌓여있다.

 

이미지적 행복의 정점에 '킨포크'가 있다.

 

소셜테이너 이효리의 블로그도 있다.

 

 

 

킨포크적 삶의 방식과 이효리님의 삶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픈 것은 아니다.

그것을 표현하는 방식의 유사성은 우리들의 인스타그램의 이미지에서도 나타난다.

심지어 '킨포크 스타일로 사진찍는 법'이라는 글도 있었다. 우리는 도시에서도 킨포크적 이미지로 포틀랜드의 여유로운 삶을 흉내를 낸다.

소셜테이너 이효리님도 제주도에서 '킨포크'적 외래 행복을 이미지로 담는다.

각종 필터가 장착된 스마트폰의 카메라는 그 흉내를 보다 쉽게 누구나 할 수 있게만든다. 

우리는 디스토피아적 세상에서 유토피아를 흉내며 매일같이 남몰래 좌절한다.

 

그럼에도 우리는 소통해야 하는 것일가?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