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을 하지 않은지 3주란 시간이 흘렀습니다.

3주동안 '요즘 어떻게 지내냐'란 질문에 '너무 바빠'란 대답을 했었습니다.

도대체 백수가 왜 바쁜것인지...그것도 '너.무' 바쁜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렇다고 딱히 기억에 남은 사건도 기억도 없으면서 말입니다.

 

오늘은 3주만에 정말 특별한 약속도 계획도 없는 첫날입니다.

(어젯밤엔 내일 출근해야하는 직장인의 슬픈 얼굴을 보며 나도 모르게 크게 함박미소를 지어보이기도 했습니다)

 

4월이 되어 읽기 시작한 책 만 6권이 됩니다.

그 중 반절이상 읽은 책은 물론 단 한권도 없습니다.

비어있는 시간 속에서 비어있는 책읽을 시간을 만드는 일이 이상하게도 죄스러워서

매일같이 외출을 하고 사람을 만나고 뭔가를 하는 하루하루의 연속이었습니다.

 

그러던 지난주 신영복 선생님의 '처음처럼'이란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신영복의 언약'이라는 소제목을 가진 '처음처럼'은 일반책의 두배두게의 책이지만

페이지에 짧은 글과 신영복선생님의 서예나 그림으로 채워져서 꽤나 여백이 많은 책입니다.

무엇보다 사색을 통해 쓰여진 진한 사유의 글들이 책의 두게보다 더 두터운 이야기를 하는 책이기도 합니다.

 

지난주 책의 1/5가량을 읽었고

'오늘은 이책을 다 읽어 버리리라' 결심을 하여 집 근처 카페에 자리를 잡았습니다.

1시간반가량이 흘렀고 남은 책의 분량이 1/5가량이 남은 것을 보고

'음..오늘 다 읽을 수 있겠구나' 개운해 하고 있었습니다.

 

앞서 이 책을 읽었던 남자친구에게 전화를 걸어 책을 다 읽어 간다며 뿌듯하게 이야기를 했습니다.

남자친구는

'그 책은 사색이나 묵상같은 책인데 왜 그렇게 빨리 읽어요?' 라며 질문을 하였습니다.

 

 

 

남자친구와 자주 책을 함께 읽습니다.

그때마다 남자친구는 저의 속독에 놀라했습니다.

소설이든 철학이든 책의 난이도와 종류에 관련없이 대개 저는 속독을 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그 버릇의 시작은 바야흐로 12년 전 고등학교 3학년시절로 되돌아가야합니다.

그 당시 모의고사를 칠때면 언어영역에서 늘 시간이 모자라 마지막엔 풀지못한 문제의 답을 몰아찍기 일수 였습니다.

그때부터 글을 속독하는 훈련을 하였습니다.

단어하나하나의 의미를 파악하기보다는 문장전체를 통으로 읽어버리는 연습을 했던 것입니다.

시험문제를 풀기위한 글읽기를 열심히 단련했던 것이 었습니다.

 

저의 글을 읽는 방법은 독서에서 뿐만이 아니라 저의 삶에도 묻어나 있습니다.

'정황을 재빨리 파악하고 어느정도의 오차없이 빠르게 문제를 해결하기'의 삶의 방법이 어느새 스스로가 되어있었습니다.

 

반면 남자친구는 문장 하나하나를 천천히 읽는 독서습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처음엔 속독하는 스스로에 뿌듯함을 느끼기도 했지만 독서를 통해 천천히 다양한 사고를 해나가는 남자친구를 보며

나의 독서 방법은 '빈깡통 같은 독서' 였구나를 깨닫게 됩니다.

 

확대해석일지도 모르겠지만

이러다 나의 삶이 '빠르게 굴러간 빈깐통'이 되어버릴 지도 모르겠단 생각을 합니다.

쉽게 흘러간 지난 4월의 여러날들처럼 어제일도 기억나지 않을만큼의 가벼운 시간들로

제 삶이 채워져 버린다면 -

 

그래서 오늘은 '처음처럼'을 더 이상 읽지 않기로 결심했습니다.

남은 1/5의 글들은 천천히 그 글의 깊이를 해아리며 읽어보려 합니다.

새로운 독서 방법이 새로운 삶의 방법을 위한 작은 시작이길 바라며 :)

 

 

 

 

 

 

 

 

 

 

 

 

 

 

 

 

 

 

+ Recent posts